IT하는 참새
리눅스 배포판 본문
리눅스 배포판이란 뭘까?
리눅스는 오픈소스이다
(리누즈 토발즈가 처음부터 이러고싶었던게 아니고 자랑하다가 여기까지왔다는 설)
리눅스는 오픈소스이다라는게 뭘까?
정확히 말하면 커널이 오픈소스라는것이다
리눅스는 들어본것만 해도 꽤 될것이다
SUSE, 데비안, 우분투, 레드헷, 페도라, CentOS 등등....
되게 배포판이 많지만 공통점은 다들 공개된 커널을 이용해서 입맛대로 꾸며낸 것!!
그런데 공개된 무료 커널을 사용했는데 어떤 리눅스는 유료/무료 인데 뭔가?
리눅스커널은 기본적으로 FSF재단이다
Free Software Foundation
요약하면
1. 공개한것들 맘대로 가져다 써라
2. 배포할 때 유료/무료는 너 맘대로해
3. 단, 유료/무료 상관없이 너도 소스코드를 공개해라
그러니까 많은 배포판들이 있는 것임!!
------------------------------------------------------
리눅스 배포판이 발전한 흐름은 다음과 같다
(대표적으로 3개의 흐름)
1. 슬랙웨어(Slackware) -> SUSE
- 하드웨어 호환성은 너무좋은데 CGI환경만 제공함........
2. Debian -> Ubuntu (Debian -> DPKG -> Ubuntu)
- DPKG가 나온이유:
- 데비안에서 소스코드작성해서 프로그램만들어서 다른컴퓨터에 소스코드 건네주니 실행안됨;
- 아.. 환경이 다른데 그냥 소스코드말고 컴파일없이 바로 실행하게 해주자! 해서 DPKG나옴
- 그렇게 발전하다가 Ubuntu가 탄생했음
- Ubuntu는 6개월마다 한 번씩 새로운 버전을 내놓음
- Ubuntu는 Debian계열이므로 당연히 DPKG를 사용가능함
3. RedHat -> Fedora -> CensOS
- RedHat은 유료이며, 다른 리눅스와 다르게 유지보수를 해준다는 점에 사람들이 사용함
- (다른 배포판은 다 무료니까 누가 나 오류나면 즉각 수정을해줘... 그러니까 RedHat)
- 그런데 RedHat이 유료배포판이지만 FSF재단의 규칙을 따라 소스코드를 공개함
- 이거보고 똑같이 보고 베껴 만든게 CensOS!!
- RedHat에서는 사용자가 오류나면 고쳐서 즉각 적용하는것이 아닌 테스트를 거치게 됨
- 어디다가 테스트를하냐? 비용측면에서 고려를 해봄
- 그러다가 그냥 대놓고 이건 테스트용 배포판입니다 라고 광고를 함 -> 그게 Fedora
- Fedora는 RPM이라는 개념이 추가됨 (RedHat Package Manager)
결론은 리눅스 배포판이 되게 많지만
모두 오픈소스 커널에서 출발했고 각 스타일에 맞게 고쳐서 배포하고 있을 뿐이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ell의 기본개념 (0) | 2018.09.19 |
---|---|
vi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0) | 2018.09.19 |
ls 명령어 팁 (0) | 2018.09.18 |
kernel (0) | 2018.09.17 |
Bad Interpreter: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0) | 201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