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ip (6)
IT하는 참새
http://upload.kin.naver.com/equation.nhn UI도 간편하고 조작이 쉽다
모든 OS에서 파일이 생성되면 시간과 함께 저장이된다 그런데 그게 무슨시간이냐?또 기본적으로 나오는 시간은 무슨시간이냐?(뭔 개소린지 싶다) 3개의 시간을 가진다 ctime (change time)- 파일의 속성이 수정된 시간(권한이나, inode, 파일크기 등등...)mtime (modification time)- 파일내부의 데이터가 변경된 시간atime (access time)- 파일에 접근한 시간(파일 오픈) Windows, Linux 에서는 default값이 mtime으로 표기된다 ctime, atime을 볼 수 있는 방법도 있으나이건 그냥 검색하면 바로 나오므로 패스
- 톰캣 설치경로 찾아가서 폴더채로 지운다고해도 다 지워지는 것이아님 - 톰캣 설치폴더안에 uninstall.exe가 여러 오류로 안먹힐 때가 있음(실제로 그랬음) 확실한 제거방법 1. 설치한 톰캣 서비스 이름찾아냄 2. sc 명령어로 삭제 (sc delete 서비스명) 서비스이름이 Tomcat8 이다 1. cmd(관리자 권한)실행2. sc delete Tomcat8 끝
이 예외가 발생했다면 서버실행은 정상적이나 404에러가 나올 것이다. (경로에 있는 파일을 못읽어옴) 해결법 1.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2. Deployment Assembly -> Add -> Java Build Path Entries -> Maven Dependencies 클릭3. 톰캣, 이클립스 재시작 참고 https://crunchify.com/how-to-fix-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exception-spring-mvc-tomcat-and-404-error/
Spring MVC프로젝트를 하던 중 Tomcat 7.0 -> Tomcat 8.0으로 바꾸니 여러 에러들이 발생하였다 톰캣 실행 시 LifecycleException 발생!! 해결법 1. Preferences(상단 탭) -> Maven -> User Settings -> Local Repository 에 있는 모든 것 삭제 2. Servers(windows -> Show view) -> Tomcat -> Clean Tomcat Work Directory3. Menu -> Project -> Clean4. 프로젝트 우클릭 -> Maven -> Update Project 참고 이클립스 -> Navigator탭 -> org.eclipse.wst.common.project.facet.core.xml 이 파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