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0)
IT하는 참새
보통 Kernel이란 H/W 와 Shell 사이에 존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kernel을 os라고도 말함) 즉 S/W와 H/W간의 상호적인 동작을 하기위한 것이다 (S/W에서 명령을 내리면 Shell이 받고 OS로 전달하여 H/W가 최종적으로 처리함) Kernel : 알맹이 (사전적 의미) 모든 OS는 Kernel이 존재함 윈도우도 Kernel이 있음.하지만 보안공부하면서 Kernel이라는 단어는 linux계열에서 더 많이 언급되는 것 같다(주관) 기본적으로 linux를 설치하게되면 kernel은 그럼 어디에 위치하느냐? /boot/vmlinuz-커널버전 경로에 위치하게 된다 (무슨 배포판 리눅스든) vmlinuz인 이유는 virtual memory + 리누즈 토발즈 이름에서 나온 것 커널은 여기서..
보통 Tablayout을 사용한다면 ViewPager와 같이 사용한다 그리고 탭에 들어갈 내용을 ViewPager를 만들때 사용한 어댑터 클래스에서 getPageTitle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해서 박아넣을 것이다 하지만!!! 하다보면 이런문제가 발생할 확률 90%이상 - 탭레이아웃의 각 탭의 글씨 크기를 키우고 싶다- 탭레이아웃의 각 탭의 들어가는 것을 이미지로 바꾸고 싶다- 탭레이아웃의 각 탭에 들어가는 이미지크기를 좀 늘리고 싶다.. - 어쨌든 기본적으로 밋밋한 글씨 들어가는거보다 내가 커스텀해서 넣고싶다!! 이러고싶다면 getPageTitle메소드 오버라이딩을 하지말고 탭 하나하나 참조해서 적용하면된다 예를들어 탭레이아웃의 현재탭이 3개라면 탭레이아웃객체.getTabAt(0).setCustomView(..
리스트뷰 같이 Adapter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뷰들은 '뷰를 재활용하는 방식' 이다 ListView에서 이미나온 뷰가 또 나온다? - 이러면 뷰 재활용하다가 문제생긴거임 ViewHolder개념을 사용하면 해결가능(RecyclerView는 이미 쓰고있음, 개인적으로 ListView보다 RecyclerView쓰는거 추천) 뭐 아무튼 ViewHolder개념을 어떻게 적용하냐 보통 CustomListView를 구현할것이고, Adpater를 만들텐데 getView메소드내에서 if(view == null) {//Inflater, 뷰생성 등등 } 이런 코드를 가지고 있을것임 이거를 변형해서 사용할것임 1. 리스트뷰로 뿌려질 아이템들의 변수만 가지고있는 클래스를 만든다(예를들어 제목, 사진 이 한줄에 보여지는 리스트..
이미지 슬라이드를 구현한다면 보통 ViewPager + ImageView를 이용하고 각종 기능들을 만들어야함 쉽게 이미지 슬라이드를 구현하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함 AutoScrollViewPager 사용법 1. gradle추가 compile ('cn.trinea.android.view.autoscrollviewpager:android-auto-scroll-view-pager:1.1.2') { exclude module: 'support-v4' } 2. AutoScrollViewPager뷰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생성 auto_layout.xml 이라고 해보겠음 3. ImageView뷰만 가지고있는 레이아웃 생성 4. AutoScrollViewPager와 연결할 Adapter 생성 (예를들면 이렇게)(그냥 거의..
Elastic Search는 Restful API를 지원한다고 했다 HTTP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는 것이므로 GET, POST, PUT, DELETE ... 메소드를 사용한다는 것임!! 이번에는 해당 메소드들을 사용해보겠다 (Elastic Search기본포트는 9200) 먼저 GET (조회) curl -XGET 'Elastic Search주소' 예시) curl -XGET 'http://localhost:9200' 그냥 Elastic Search에 접속(실행)한 것이다. 여러 정보가 나온다 (결과도 JSON이군!!) PUT (인덱스에 사용되는 삽입) curl -XPUT 'Elastic Search주소/index이름' 예시) curl -XPUT 'http://localhost:9200/school' 명령어..
Elastic Search 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임 표준으로 Restful API와 JSON을 사용함 그래서 우분투에서 공부하는 용도로는 curl 명령어로 할것임 또한 Elastic Search를 이용한 Client프로그램을 주 언어로 제작 가능함 (안내해줌) (JAVA, C#, Python, Javascript, PHP, Perl, Ruby) 각 언어별로 매뉴얼도 제공!! (너무좋음) (아래는 홈페이지 내용임) 앞으로 나는 우분투에서 curl 명령어를 이용할 것임 ---------------------------------------------------------------------------------------------------------- Elastic Search를 ..
Elastic Search 설치 (JDK도 설치해야함 무조건) 설치전 확인할 것!!(https://www.elastic.co/support/matrix 에서 지원하는 OS확인하기) (본인의 환경 : Ubuntu 16.04 - 64bit) OS가 준비되었다면 Elastic Search를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나중에 바뀔수도 있고) 여러가지형태로 제공해주고 있지만 DEB파일을 다운로드받겠다 (다른것도 리눅스에서 다 지원이 되지만 DEB파일 실행하는게 나는 더 편함)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압축풀어야함 명령어: dpkg -i 파일명.deb 이러면 Elastic Search 세팅 끝!! Elastic Search 실행과 종료 명령어 sudo service elasticsearch start..
ELK =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간단히 말하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각화하기위한 툴들임 (APM같이 말 묶어놓음) 자세한 설명은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나오니 기초와 효율적인 사용법에 맞춰 글을 쓰기!! ELK 동작과정 1. LogStash로 어떤 DBMS든, 데이터든 수집해오기 2. LogStash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ElasticSearch에 저장하고 3. Kibana를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함
- 톰캣 설치경로 찾아가서 폴더채로 지운다고해도 다 지워지는 것이아님 - 톰캣 설치폴더안에 uninstall.exe가 여러 오류로 안먹힐 때가 있음(실제로 그랬음) 확실한 제거방법 1. 설치한 톰캣 서비스 이름찾아냄 2. sc 명령어로 삭제 (sc delete 서비스명) 서비스이름이 Tomcat8 이다 1. cmd(관리자 권한)실행2. sc delete Tomcat8 끝
이 예외가 발생했다면 서버실행은 정상적이나 404에러가 나올 것이다. (경로에 있는 파일을 못읽어옴) 해결법 1.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2. Deployment Assembly -> Add -> Java Build Path Entries -> Maven Dependencies 클릭3. 톰캣, 이클립스 재시작 참고 https://crunchify.com/how-to-fix-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exception-spring-mvc-tomcat-and-404-error/